1. 관광사업의 발전요인
현대사회에 접어들며, 관광이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인식되며, 관광사업도 비약적으로 발전하며
양적·질적 성장을 이룸
1)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 개인들의 가치·태도·신념이 반영된 생활방식을 의미하는 라이프 스타일이 현대인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통해
변화되어 관광인구 증가시킴
2) 가계소득의 증가
- 경제구조의 변화와 급속한 경제성장률은 국민소득을 향상함으로써 가계 및 개인들의 소득이 증가함
- 소득의 증가는 생활수준을 향상시켜 관광을 포함한 문화성 소비를 증가시킴
3) 여가시간의 증대
- 주5일 근무제도의 일반화로 인해 이루어진 여가시간의 증가는 관광대중화 현상으로 발전하게됨
4) 교육 수준의 향상
- 교육수준의 향상과 국민소득의 증가는 부(副)로 인한 만족을 벗어나 역사·문화의 지식에 대한 직접경험의 욕구가 강해지고 되고,
이러한 욕구들이 현실화되어 관광행동으로 나타나 관광사업의 발전으로 이어짐
5) 교통운송수단의 발달
- 고속교통수단, 특히 항공교통수단의 발달은 대량운송과 고속운항에 의한 시간절약과 운임의 저렴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항공운송뿐만 아니라 육상·해상교통운송의 서비스의 질적 향상은 관광객들의 관광에 대한 욕구를 자극함
6) 여행촉진활동의 강화
- 관광사업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관광여행과 관련한 광고·판매촉진·홍보 및 인적 판매와 같은 상업적인 촉진활동의 전개로 인한
관광소비 확대
7) 관광사업의 확충
- 관광숙박업의 객실수 증대, 대규모 항공사 및 저비용 항공사의 등장으로 인한 공급 증가, 유람선회사의 참여, 관광종사원의 증가로
인한 관광서비스의 질적 향상은 관광소비를 유도함
8) 국제교류의 확대
- 자원과 기술보유 정도가 다른 국가 간의 교류로 인한 비즈니스 관광수요증가는 관광사업 발전의 기틀을 이룸
9) 특수목적관광의 등장
- 개인들의 개별적인 선호와 목적에 대한 소비욕구가 강해지며, 골프, 스킨스쿠버, 스키 등의 스포츠관광, 배낭여행, 어학연수 등의
교육관광, 치료를 목적으로 한 의료관광 등 특수목적관광에 대한 관심과 수요의 증가는 관광소비의 영역을 넓혀 관광사업 발전의
저변확대
10) 정보매체의 다양화와 발달
-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정보매체의 대량 보급 및 IT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관광정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개인들의 취향이나
목적에 맞는 관광정보습득, 선경험자들로부터 얻은 관광정보공유를 통해 관광활동에 대한 사전장벽을 무너뜨림으로써 관광수요
증가 효과
11) 실버세대의 증가
- 65세 미만의 젊은 실버세대들의 관광시장 참여확대로 인한 관광시장 수요 확대
2. 관광사업의 발전단계 : 오다니다쓰오(⼩⾕達南)의 구분
1) 자연발생적 관광사업
- 종교나 잉여시간의 증대, 귀족계급의 확대가 관광객의 증가로 이루어져 관광사업이 자연발생적으로 생김
- 초기 형태의 여행객을 위한 이동이나 체류에 필요한 시설
- 18세기를 전후하여 유럽의 상류계층의 현장교육프로그램의 일환인 그랜드투어(Grand tour) 운영
2) 매개·서비스적 관광사업
- 교통업·여행업·숙박업이 관광의 핵심으로서 관광자와 관광대상 간에 매개되어 적극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관광왕래의 촉진 도모
-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증기선의 발명, 철도의 부설, 자동차의 발명은 대량수송을 가능하게 하여 관광산업에 큰 발전을 가져옴
- 경제적 이윤추구에 눈을 뜨기 시작하여 기업형태의 모습을 갖추던 시대의 관광사업
- 최초의 여행업인 토마스 쿡(Thomas Cook) 여행사, 세자르 리츠(Cesar Ritz), 스타틀러(Ellsworth Melton Statler), 힐튼(Cornard N. Hilton)에 의한 호텔사업 시작
3) 개발·조직적 관광사업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부흥, 교통수단발달, 국민소득의 증가로 일반대중이 관광활동에 대량으로 참여하여 대중관광(mass tourism)의 시대 개막
- 최근에는 개인의 개성을 반영한 질적인 관광을 선호하는 관광객들의 요구로 인해 신규업종이 생성되어 관광사업이 다양해짐
3. 한국 관광사업의 발전단계
1) 해방이전
- 근대 조선 이전까지는 종교적·민속적인 성격을 띤 관광
- 20세기 초 일제치하 시기는 여명기(黎明期)로 불려지며, 일본이 만주대륙 진출을 위한 목적으로 세운 철도와 철도역 주변의 철도호텔을 중심으로 철도여행이 주를 이룸
- 1988년 인천항을 이용하는 미국인과 일본인의 유치를 위해 대불호텔 운영, 최초의 서양식 숙박시설인 손탁호텔이 1902년에 건립
2)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 도입기로 해방 후의 정치혼란과 경기침체가 계속되며 관광부문의 수용태세가 확립되지 못함
- 1948년 미국 노스웨스트 항공사 취항, 1961년 관광사업진흥법 제정, 국제관광공사 발족, WTO가입, 1965년 PATA 총회 유치 등 정부주도형 관광사업발전기
- 관광산업을 위한 기반조성 및 체제정비의 시기
3) 1970년대
- 성장기로 관광자원이 개발되어 관광지가 조성되는 등 관광사업이 국가전략사업으로 발전
- 1978년에는 외래관광객 유치 100100만 명 돌파
4) 1980년대
- 도약기이며,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개최로 세계시장 속에 한국을 알리는 계기마련
-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가 실시되며, 대규모 국제회의 유치를 하며 외래관광객 수 200만 명 달성
5) 1990년대~ 2000년대
- 1990년대에는 내국인의 해외여행증가로 관광사업의 새로운 장을 여는 시기임
- 2000년대에는 여가시간의 증대, 국민소득의 향상으로 국민관광·레저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문화·레저산업을 전략산업화함
'관광사업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사업론] 관광사업의 주체와 내용 (7) | 2025.03.29 |
---|---|
관광사업의 개념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