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BTI 아직도 헷갈리십니까?

by 만리안정보 2025. 2. 17.

MBTI는 이제 하나의 언어

금방 지나갈것 같던 MBTI 가 어느새 어른들도 당연히 알아야하고 심지어 면접에서조차 MBTI를 묻는것이 규칙이 되어버린 세상에서 아직도  MBTI를 모르시는 분이 계신가요?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검사라고 지적하는 전문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MBTI를 통한 소통이 문화로 자리잡아 버린 지금, 우리는 전략적으로 MBTI를 이해해야 합니다.

 

SNS 콘텐츠를 기획하는 Z세대 후배 직원과 대화할 때도, 인터넷에 떠도는 흔한 심리테스트, 짤, 릴스, 쇼츠 등을 해석해야 할 때도 MBTI 기초 지식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MZ세대가 MBTI에 몰입하는 이유

 MZ세대가 MBTI에 몰입하는 이유는 스스로가 생각하는 나의 모습과 결과가 비슷해서 입니다. 100% 신뢰할 수 있는 테스트는 아니지만 자신이 선호하는 상황이나 성향을 기반으로 선택한 결과이기 때문에 본모습과 MBTI결과가 대체로 비슷하게 나옵니다.

 

그런 점에서 굳이 입으로 구구절절히 설명하지 않고도 쉽게 알파벳으로만 자신을 소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파악하는 데도 확실히 도움이 돼서 MZ세대들의 소통의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MZ세대가 MBTI를 활용하는 다양한 상황들

  • 새로운 사람을 사귀면 MBTI 부터 알아봐요!
  • 갈등이 생기면 MBTI를 통해 이해해보려고 해요!
  • 친구 전화번호는 못 외우지만 MBTI는 외워요!
  • 주기적으로 검사하면서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요!
  • 자기소개서를 쓸 때, 나를 표현해야 할 때 MBTI 결과를 참고해요!
  • MBTI 밈 · 콘텐츠를 자주 소비해요

MBTI 속성강의

MBTI 종류는 총 16가지의 알파벳 4개의 조합으로 만들어집니다. 한 사람이 보통 한가지 조합을 가진 유형이 많지만 여러가지 MBTI를 가진 경우도 있습니다. MBTI가 같더라도 사람마다 알파벳의 비중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예) 같은 E 유형이라도 (E90, I30) / (E55, I45) 전자가 E 성향을 더 강하게 나타냄.

 

MZ세대와 MBTI로 소통할 때 주의할 점

  • 공적인 자리에서 먼저 MBTI 이야기 꺼내지 않기
  • MBTI 스몰토크의 적절한 타이밍은 MZ세대가 직접 MBTI를 공개했을 때라는 것을 기억하기
  • 각 유형의 부정적인 특징을 굳이 언급하지 않기 (예. 면접 시 지원자가 MBTI를 통한 자기소개=Ok! 다른 유형에 대한 질문=No)
  • MBTI특징만으로 그 사람을 규정하지 않기
  • '재미로 보는 'MBTI콘텐츠, 결과값을 억지로 끼워 맞춘 MBTI마케팅은 경쟁력이 없음.
  • 취향의 영역과 MBTI별 특징을 연관 짓지 않기 (예. MBTI별 선물 추천)
  • 유형별 특징을 부각하고 싶을 때는 '극'이라는 표현을 쓸 것 (예. 극E 성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