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광자원론

관광자원의 의의 - 관광과 관광자원

by 만리안정보 2025. 3. 25.

1. 관광의 의미

1) 관광의 어원

- 동양의 어원 : 중국 주(周) 나라 시대의 역경이라는 책의 관국지광이용빈우왕(觀國之光利用賓于王:나라의 빛을 보는 것은 임금의 손님 노릇하기에 이롭다.) 이란 기록에서 관광(觀光)이 유래되었다.

- 서양의 어원 : 1811영국 스포츠월간지 'The Sporting Magazine'에서 Tour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 한국의 어원 : 1385년 정도전의 '삼봉집'에서 관광집이란 어휘를 사용하였다.

 

2) 학자들의 관광의 개념

- 쓰다노보루 : 관광이란 '일상생활권을 떠나 귀환예정으로 타국 및 타 지역의 문물, 제도 등을 시찰하거나 풍광을 관상, 유람할 목적으로 여행하는 것'을 말한다.

- 한국관광공사 : 관광이란 '일상 생활권을 떠난 순수여행목적의 자유인, 그와 여행 목적 및 지역사회의 상호작용, 그의 여행과 관련된 산업과의 상호작용으로 발생되는 관계들의 총화'라고 할 수 있다.

 

3) 공통적인 관광의 개념

- 사람이 일상생활권을 떠난다.

- 다시 돌아올 예정이어야 한다.

- 목적(타국, 시찰, 경치를 감상, 유람 등)이 존재해야 한다.

 

4) 관광의 3요소

 (1) 관광주체 :  사람(관광객, 관광지)을 의미하여, 관광수요시장을 구성한다.

 (2) 관광매체 : 관광주체와 관광객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관광사업 (여행사, 숙박업 등)이 여기에 속한다.

                    ① 공간적 매체 - 교통기관, 도로, 운송시설

                    ② 시간적 매체 - 숙박, 휴게실

                    ③ 기능적 매체 - 관광알선, 통역안내, 관광선전

 (3) 관광객체 : 관광대상인 관광자원, 관광목적지를 의미하여 관광공급시장을 구성한다.

 

2. 자원의 의미

 1) 자원의 의미

- 과거 : 석유와 석탄 같이 자연자원 중 유형재만을 의미하였다.

- 현재 : 유형재뿐아니라 무형재를 포함하여, 인간의 행복을 증진하는 모든 재료를 의미한다.

 

 2) 자원의 특성

  (1) 유한성 :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자원고갈 가능성이 있다.

  (2) 편재성 : 자원은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존재한다.

  (3) 가변성 : 자원의 가치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한다.

 

 3) 자원의 속성

- 자연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 기술발달, 시간의 흐름, 소득증가, 기호변화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 경제성을 지내고 있다.

-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3. 관광자원의 의미

 1) 관광자원의 사전적 의미

- 관광자원이란 관광의 주체인 관광객으로 하여금 관광의욕을 일으키게 하는 목적물인 관광대상을 가리키는 말이다.(출처:네이버 백과사전)

 

 2) 광의의 관광자원

- 인간의 관광욕구와 관광행동을 충족시켜 주는 유형·무형의 모든 자원을 말한다. 자연적 · 문화적 · 사회적 · 산업적 · 위략적 자원을 모두 포함한다.

 

 3) 협의의 관광자원

- 인간의 관광동기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유형 ·무형의 자원으로서 보호 ·보존하지 않으면 가치를 상실하거나 감소할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원에 한정한다

 

 4) 관광자원의 정의

- 관광자원의 정의는 '관광의 정의'처럼 통일된 의견이 아직 없다.

-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관광자원을 '관광객이 다양한 관광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찾아가는 매력성을 지닌 관광대상'으로 정의한다.

 

 5) 관광자원의 정의 기준

  (1) 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관광행동의 목적물이다.

  (2) 유형 ·무형의 자연적 · 인문적 자원이다.

  (3) 위락적 가치, 문화적 가치 등 가치가 있어야 한다.

  (4) 매력성과 유연성을 갖춰야한다.

  (5) 보호 · 보존할 필요가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