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관광론

[국제관광론] 관광의 기초, 관광의 어원

by 만리안정보 2025. 3. 28.

1. 관광의 어원

 1) 서양에서의 관광의 어원

 ■ Tour

  - 그리스어의 'tornos(a turn)의 대격인 'tornum'에서 기인.

  -  '돌다', '순회하다'는 의미를 내포함.

  -  회귀(回歸)를 전제로 한 이동

 

Travel

  - ‘travail’의 수고, 노고, 중노동을 뜻하는 어원에서 파생

  - ‘고통 과 위험에 가득 찬 여행에서 돌아오다라는 의미로 사용함

 

Tourism

  - 1811년 영국의 스포츠 월간잡지인 “The Sporting Magazine”에서 처음 사용됨

  - ‘각지를 여행하고 돌아오다라는 ‘tour’의 의미로 정의됨

  - 모든 국제관광기구에서 관광의 영어적 표현으로 사용함(1975)

  - 현재 광의의 관광으로 사용됨(관광, 학문, 기업, 정부 등)

 

Tour, Travel

  - 현재 협의의 관광으로 사용됨(관광자의 행동적인 측면)

 

 2) 동양에서의 관광의 어원

■  관광(觀光)

  - 기원전 8세기 고대 중국 주()나라 시대에 편찬된 역경(易經)

  - 관국지광 이용빈우왕 (觀國之光 利用賓于王) : 한나라의 빛을 보는 것은, 왕의 손님 노릇하기에 이로우니라

  - 방문국의 문화, 문물을 보고, 느끼고 체험한다는 의미

  - 현재 중국에서 관광() 이라는 표현도 쓰이나, 여유(旅游)라는 말이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 한국은 관광(觀光) 일본에서는 관광()으로 표시하고 있음

 

 3) 한국에서의 관광의 어원

관광육년(觀光六年)

  - 최치원, 계원필경(桂苑筆耕), 신라하대 학자(886)

  - 6년 동안 고심역학(苦心力學)한 결과, 과거 보러 중국()에 감

  - 과거 보러 가는 목적형 관광으로 해석

 

관광상국 진손숙습(觀光上國 盡損宿習)

  - 고려사절요 제8, 고려 예종 11(1115)

  - 상국()을 관광하여 숙박하면서 배우는 것

  - 관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우리나라 최초의 공식기록

 

관광방

  - 조선 건국시 한성의 북부에 10개의 방 중 하나로 지정

  - 조선 개국 초기 임금님의 덕이 나라 안에서 빛나기를 바란 데서 유래(觀光坊)

 

관광록(觀光錄)

  - 성현(成俔), 조선중기 문신학자, 1473/1475/1485년 중국()에 다녀옴

  - 관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우리나라 최초의 문헌(기행시집)

 

위관광지상국래(爲觀光之上國來)

  -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정조 4년(1780년)

  - ‘상국()의 문물, 제도를, 관광하러 왔다라는 의미를 내포

 

관광약기(觀光略記)

  - 1910, 유길준

  - 일본 나고야 박람회를 살펴보고 쓴 견문기로서 일본의 서구개방으로 인한 발전상황과 박람회 시찰 소감 등을 기록

 

관광사업진흥법

  - 1961822일 제정공포

  - 우리나라 최초의 관광법에 의해 관광이 최초로 법제화됨

 

往五天竺國傳(왕오천축국전)

  - 신라시대의 승려 혜초(慧超:704787)가 고대 인도의 5천축국을 답사한 727(성덕왕 26)에 쓴 책

    (현재 파리국립도서관에 소장 중)

 

왕오천축국전(신라시대의 승려 혜초가 고대 인도의 5천축국을 답사한 경로)

 

'국제관광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관광론] 관광의 개념  (1) 2025.04.02